# 글을 여는 글

알랭 드 보통의 연애소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특별한 로맨스가 없습니다.

그저 평범한 남자인 주인공이
평범한 여자인 클로이를 만나
평범하게 연애하다가
평범하게 이별하는 이야기죠.

남자와 여자가 만나
사랑에 빠지고 헤어지기까지
겪게 되는 15단계의 과정.

세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혼돈의 데이트

우연히 비행기 안에서 클로이를 만나
그녀를 사랑하게 된 한 남자.

며칠 후, 두 사람은
역사적인 첫 데이트를 하게 됩니다.

꿈에 그리던 그녀와의 만남!
남자는 마냥 기쁘고 행복했을까요?

아니에요. 오히려 정반대였어요.

그녀와의 첫 데이트는 처음부터 끝까지
혼돈과 카오스의 연속이었거든요!

 

좋아하는 사람이라서

그녀와 밥을 먹을 때도
대화를 주고받을 때도
남자의 머릿속은 너무 바빴어요.

# 첫 번째 생각.

"그녀가 내게 호감의 신호를 흘리지 않을까?"
하나도 놓치면 안 돼!

남자는 여자의 모든 말과 행동에서
특별한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어요.

그래서 그녀가 미소지을 때마다,
두 사람의 손이 스칠 때마다
그게 어떤 의미인지 고뇌했죠.

# 두 번째 생각.

"그녀는 어떤 남자를 좋아할까?"
→ 그런 모습을 보여줘야 해!

남자는 데이트 내내
상대방이 원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했어요.

심지어 초콜릿 싫어하는 사람을
이해 못 하겠다는 그녀의 말에
알레르기를 무릅쓰고 초코 디저트를 주문했죠.

그런데 말입니다.

남자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첫 데이트의 결과는...절망적이었어요.

남자의 말과 행동은
어느 때보다 맹하기 그지없었거든요.

"어떤 작가를 좋아해요?"
"하는 일은 마음에 들어요?" 같은
따분한 질문들만 잔뜩 던지고,

말없이 손가락으로 탁자보 무늬를 그리거나
물이나 홀짝홀짝 하는 게 전부였죠.

여러분도 이런 흑역사(..)를
남긴 적 있지 않나요?

 

짝사랑의 역설

얄궂게도 이런 비극은
내가 잘보이고 싶은 사람과 있을 때
특히 더 격렬하게 일어난답니다.

연구에 따르면,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정신적 에너지가 엄청 소모된다고 해요.
(Eli J. Finkel, 2006)

상대에게 너무 잘보이고 싶은 나머지,
그 사람의 모든 말과 행동을 분석하고
이에 맞춰 자기를 포장하려 하기 때문이죠.

생각만 해도 피곤하지 않나요?

비극은 여기서 시작됩니다.

너무 많은 것에 신경쓰는 바람에
정작 상대방과의 대화에 쓸
에너지가 바닥나 버리거든요.

심리학에서는 이 정신적 에너지를
자기통제력(self-regulation)이라고 불러요.
말 그대로 자신의 말과 행동을
의지대로 컨트롤할 수 있는 능력이죠.

그래서 자기통제력이 바닥난 사람은
상황에 안 맞는 말을 하거나
평소보다 둔하게 굴게 된답니다.
(Karremans, Johan C., 2009)

슬프게도 상대에게 잘 보이고 싶을수록,
상대의 마음을 알아내고 싶을수록
오히려 그게 불가능해지는 셈이에요.

짝사랑의 역설이랄까요?

 

진심이라서 엉망이 됐어

그래도 너무 슬퍼할 필요는 없어요.

한 연구에 따르면
약간 어설프고 부끄러워하는 모습도
상대에게 꽤 호감을 주거든요.
(쑥쓰러움 타는 남자가 인기 있는 이유)

그러니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조금 모자란 모습을 보였어도
너무 낙심하거나 자괴하지 말기!

오히려 누군가를 정말 좋아한다면
얘기도 술술 잘 하고 실수를 안 하는 게
비정상이랍니다.

어쩌면 그런 부끄러움,
후회의 경험들이야말로
짝사랑만의 성장통 같은 게 아닐까요?

p.s.

그 사람은 날 어떻게 볼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면,

<카톡으로 보는 속마음>으로
답답한 속을 해소해보는 건 어떠세요?

<카톡으로 보는 속마음>
카톡 대화의 미묘한 변화들을 찾아내
두 사람의 속마음을 정확하게 알려주거든요.

실제 대화형 인공지능 개발에 사용되는
기계학습 및 자연어 처리기술로
소름돋는 정확도를 자랑하죠.

아래 배너를 누르면
지금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최지윤 에디터의 후기

그 사람과 같이 걸을 땐
내 몸도 삐걱삐걱 하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