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만 헤어져

이별은 누구에게나 아픕니다.
특히 차인 쪽이라면 더 아프죠.

그런데 왜 "아프다"고 표현할까요?

헤어지면 괴롭고 힘들긴 하지만
칼에 베이거나, 몸에 상처가 났을 때처럼
실제로 '아픈'것은 아닌데 말이죠.

흥미로운 점은 다른 문화권에서도
이별의 아픔과 신체적인 아픔은
같은 단어와 표현을 사용한다는 거예요.

sol024_illu_01
아프다는 말은 단순히 문학적 표현일까요?
아니면 이별의 아픔과 신체적인 아픔이
실제로 비슷한 걸까요?

 

이별의 아픔 vs 신체적 아픔

2010년,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의 연구진은
이별의 아픔과 신체적 아픔을 비교하기 위해
한가지 실험을 기획합니다.

먼저 연구진은 페이스북과 전단을 통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차인 사람들을 모집했어요.

sol024_illu_02
연구진은 40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서로 다른 두 가지 통증을 느끼게 한 후,
fMRI(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를 통해
사람들의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했습니다.

281516702_fbc13affc3_b

 

 

 

 

 

 

 

 

 

 

1) 신체적인 통증
먼저 연구진은 신체에 통증을 느낄 때
뇌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의 팔에 뜨거운 열을 가했어요.
약간 고통스럽지만 참을 만한 정도의 열이었죠.
sol024_illu_03

2) 이별의 통증
이후엔 이별로 인한 통증을 느낄 때
뇌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헤어진 연인의 사진을 보여주며
이별 당시의 상황을
 떠올리도록
주문했어요.
sol024_illu_04

자, 두 가지 서로 다른 통증을 느낄 때
참가자들의 뇌는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다 "아프다"

먼저 팔에 뜨거운 열이 가해졌을 때
뇌에서 신체적 통증을 느끼는 부분이
활성화됐어요.

지극히 자연스러운 결과죠.

놀라운 것은
참가자에게 이별의 순간을 떠올리게 했을 때도
신체적 통증을 느끼는 부분이
활성화됐다는 점이에요.

sol024_illu_05

쉽게 말해
뇌는 이별로 인한 통증을
 신체적인 통증과
똑같이 받아들인다
는 거예요.
몸에 난 상처 건, 마음에 난 상처 건,
다 '아픈'거죠.

 

실연을 위한 약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신체의 통증을 줄여주는 진통제를 먹으면

이별의 아픔이 완화된다고 해요.

우리가 이별의 순간을 떠올릴 때
마음 한 켠이 아려오는 것은
그저 단순한 느낌이 아니었던 거죠.
우리의 뇌는 실제로 몸 어딘가에
상처 입은 것처럼
 통증을 느끼고 있던 거예요.
sol024_illu_06

물론 모든 상처가 그렇듯,
이별의 상처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회복될 거예요.

만약 할 일이 태산인데,
이별의 후유증이 너무 커서
아무 일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면

아스피린을 한 알 먹어보세요.
비교적 담담히 일상을 이어갈 수 있을 거예요.

저는 그럼 아스피린 사러 갈게요!
(흑흑)